@그놈이그놈이다
하십시오체의 옛 어미. 1988년 한글 맞춤법 시행 전인 1989년 2월까지는 이것이 정확한 표기였고, 흔히 말하는 국민학교 세대 사이에서도 읍니다체 마지막 시절인 1988년에 국민학교에서 국어를 배운 사람들은[1] 이것을 정확한 표현으로 배웠다.[2]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의 표기법은 모음 뒤와 'ㄹ' 받침 뒤에는 '-ㅂ니다'를[예1], 'ㄹ'과 'ㅆ', 'ㅄ'이 아닌 받침 뒤에는 '-습니다'를[예2], 'ㅆ', 'ㅄ' 받침 뒤에는 '-읍니다'를[예3] 사용하는 것으로 확립되었는데, 이러한 표기법이 생긴 까닭은 /ㅆ/를 /ㅅ/와 /ㅅ/의 합으로, 곧 쌍자음도 자음군으로 여기고 연음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 표기의 연원은 종래에 '오빠' 등을 '옵바'처럼 적은 등과 '잇습니다'와 '업습니다'처럼 쓰던 종래의 표현을 각각 '잇습니다(잇다)'와 '있읍니다(있다)'로, '업습니다(업다)'와 '없읍니다(없다)'로 나눈 등으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읍니까'도 있었다.
자... 조선족은 어디서 배우는지 알려 줘
1찍이세요?????
하십시오체의 옛 어미. 1988년 한글 맞춤법 시행 전인 1989년 2월까지는 이것이 정확한 표기였고, 흔히 말하는 국민학교 세대 사이에서도 읍니다체 마지막 시절인 1988년에 국민학교에서 국어를 배운 사람들은[1] 이것을 정확한 표현으로 배웠다.[2]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제정 이후의 표기법은 모음 뒤와 'ㄹ' 받침 뒤에는 '-ㅂ니다'를[예1], 'ㄹ'과 'ㅆ', 'ㅄ'이 아닌 받침 뒤에는 '-습니다'를[예2], 'ㅆ', 'ㅄ' 받침 뒤에는 '-읍니다'를[예3] 사용하는 것으로 확립되었는데, 이러한 표기법이 생긴 까닭은 /ㅆ/를 /ㅅ/와 /ㅅ/의 합으로, 곧 쌍자음도 자음군으로 여기고 연음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 표기의 연원은 종래에 '오빠' 등을 '옵바'처럼 적은 등과 '잇습니다'와 '업습니다'처럼 쓰던 종래의 표현을 각각 '잇습니다(잇다)'와 '있읍니다(있다)'로, '업습니다(업다)'와 '없읍니다(없다)'로 나눈 등으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읍니까'도 있었다.
라떼는 읍니다 였다
1찍 조선족이 보냈지
조선족 애들 가르칠 때 똑바로 가르쳐라~
근데.. 그거 바뀐 후로는 공부도 안했고, 사회생활도 안했나봐?
아직도 혼자 읍니다 쓰는걸 보니..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