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아님. 한덩이 현무암지반을 위에서부터 수직으로 쪼아서 만듦.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 주(州)의 아우랑가바드(Aurangabad)에서 멀지 않은 곳에 2㎞ 넘게 펼쳐진 수도원 34개와 사원은 높은 현무암 절벽을 단계적으로 파서 만들었다. 600년~1000년까지 지속적으로 작업한 기념물로 이루어진 엘로라(Ellora)는 고대 인도 문명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 엘로라 밀집 지역에는 특유의 예술적 창조와 기술적 개발은 물론 불교·힌두교·자이나교를 신봉하는 신전들이 있었는데, 고대 인도의 특징인 관용 정신을 잘 나타낸다.
수도원과 단독의 큰 사원(10번 석굴), 600년~900년경 ‘10명의 화신 동굴’을 보유한(석굴 15번) 엘로라로 가장 잘 알려진 브라만 사원군의 석굴, 특히 크리슈나 1세(Krishna I, 757~783) 통치 아래 착공된 것 가운데 가장 거대한 카일라샤(Kailasha) 사원(16번 석굴),
시바란?
브라만교 시바는 힌두교의 트리무르티(삼주신) 중 하나이며, 파괴와 재생의 신으로 알려짐. 브라흐마(창조신), 비슈누(유지신)과 함께 우주의 조화를 담당하는 세 신 중 하나. 시바는 시바파 힌두교의 최고신으로, 힌두교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신 중 하나.
사원 꼭대기에는 링가, 링감? 둥근 기둥이 있음. 그거임.
Dedicated to Lord Shiva, the Kailasa Temple (Cave 16) is one of the 34 Cave temples and monasteries are known collectively as the Ellora Caves. Its construction is generally attributed to the 8th-century Rashtrakuta king Krishna I based on inscriptions in Kannada.
시바를 섬길 때에 부적같은 것으로 '링가'라 불리는 원통형 석상에 기도한다. 이 링가는 남성기 모양으로 여겨지곤 하지만, 힌두교 신자들은 대부분 성적인 의미 쪽과는 관련이 없다 주장한다. 원통형 모양인 이유에 대해선 해석이나 추측이 많으며 상술한 남성기에서 따왔다는 설, 시바파 창조 신화에서 시바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끝없는 기둥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등이 있다.
링가란 산스크리트어에서 기호나 상징을 의미하는 말이다. 링가 석상은 샤이비즘에서 시바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성물이며, 우주의 남성적 에너지를 상징한다. 이는 시바를 우주적 원리로 모시는 샤이비즘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주의 여성적 에너지를 상징하는 요니 석상[15]과 함께 두어 음양의 조화를 통한 완전성을 상징하게 할 때도 있다. 이러한 관계로 요니 석상은 우주의 여성적 에너지 그 자체인 샥티[16]라 여겨질 때도 있다.
링가의 유래는 세 신의 우월성을 따지려던 위대한 현자 브링구가 시바를 방문했을 때, 시바가 자신의 아내와 애정행각을 하느라 그를 마중하지 않아 화가 난 브링구가 저주를 내려서 그렇게 되었다고 하며[17] 다른 설로는 사라스바티의 저주라고도 한다. 중요한 의식을 치를 때 사라스바티가 집안일(…) 때문에 참여하지 못하자 그녀를 빼놓고 다른 신들이 모여서 의식을 치렀는데, 나중에 이를 안 사라스바티가 '시바는 (한동안) 인간의 모습으로 숭배받지 못할 것이'라고 저주해 그렇게 된 것이라 한다.
코끼리 입체감보소. 저게 가장 단단하다는 현무함으로 깍은거임.
미국 테크기업 수장들 대다수 인도인들임.
인도공대 수준은 세계 톱 랭킹. 불교의 발상지 답게 소프트웨어 강국.
반면, 더럽고 기괴하고 여성 차별 등 인권수준도 바닥인것도 사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