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0.4%·기아 5.8% 영업익 감소 전망…매출은 증가 예상
관세 장기화하면 실적 타격 불가피…"공급망 관리능력 돋보일 수도"
현대차·기아 사옥
[현대차그룹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국내 1, 2위 완성차업체인 현대차, 기아가 오는 24일과 25일 연이어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두 업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직격탄을 맞았지만, 단기적으로 가격 인상 없이 현지 재고로 대응하며 실적을 방어 중이다.
관세 장기화 시 실적 타격은 불가피하나 현대차그룹이 코로나19 당시 벌어진 반도체 수급난을 빠르게 수습한 이력이 있어 이번 관세에 따른 공급망 혼란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3일 연합뉴스가 연합인포맥스 시스템을 이용해 증권업계의 최근 석 달 치 전망을 분석한 결과 현대차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43조4천352억원, 3조5천430억원으로 집계됐다. 예상 영업이익률은 8.2%였다.
이는 작년 동기 실적(매출 40조6천585억원·영업이익 3조5천574억원)보다 매출은 6.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0.4% 감소한 수치다.
같은 그룹사인 기아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27조8천101억원, 3조2천287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11.6%로 전망됐다.
기아가 작년 1분기에 매출 26조2천129억원, 영업이익 3조4천257억원을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이번 1분기 전망치는 매출은 6.1% 늘고, 영업이익은 5.8% 줄었다.
현대차·기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자동차 업계에서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라는 대형 악재에도 현대차·기아가 현지 재고를 바탕으로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재고량은 2∼3개월 내 소진될 가능성이 커 관세 효과가 본격화될 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밀어내기를 위해 현지 인센티브가 높아지는 것도 수익성에는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앞서 KB증권은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로 현대차와 기아 영업이익이 각각 3조4천억원, 2조3천억원 줄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앨라배마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총생산 규모를 120만대까지 끌어올려 현지 생산으로 관세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무차별적 자동차 관세는 결국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커 철회되거나 완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여기에다 현대차그룹은 코로나19 자동차 반도체 수급난 당시 다른 경쟁사 대비 공급망을 빠르게 안정시키며 글로벌 완성차 3위 그룹으로 부상했던 전력이 있어 상황이 아주 비관적이지 않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KB증권 강성진 연구원은 "미국의 관세는 부품까지 대상으로 하고 있어 미국에서 심각한 공급망 교란을 야기할 수 있어 현대차그룹의 공급망 관리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현대차그룹 코로나19나 반도체 부족에 따른 공급망 교란에서 다른 업체들 대비 생산을 빠르게 정상화해 시장 점유율을 상승시킨 적이 있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