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매년 40조 원대 군함 발주 계획…한국 조선업에 기회”
미국 해군이 향후 30년간 매년 40조 원대 규모의 군함을 발주할 계획이어서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오늘(2일) ‘미국 해양 조선업 시장 및 정책 동향을 통해 본 우리 기업 진출 기회’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미 의회예산국(CBO)의 1월 분석을 인용해 미국 해군이 신규 함정 조달을 위해 2054년까지 연평균 약 300억 달러, 우리 돈 42조 원을 투입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군은 지난해 기준 보유한 함정 296척을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위해 향후 30년간 364척, 연평균 12척의 신규 함정이 필요한 상탭니다.
하지만, 미국 조선업은 2000년대 이후 급격히 쇠퇴해 선박 건조 역량이 크게 떨어진 상태라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 해군의 군함 유지보수(MRO)와 신규 건조 시장이 한국 조선업계의 진출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습니다.
미국 회계감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미국 해군이 전개 중인 전함은 149척(잠수함·항공모함 제외)에 달하며, 미국 해군은 전함의 MRO 사업에 연간 60억~74억 달러, 우리 돈 최대 10조 8천억 원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미쓰비시중공업이 먼저 미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맺었고, 한국의 HD현대중공업와 한화오션도 지난해 7월 미 해군과 MSRA 협약을 체결한 상탭니다.
보고서는 특히 미국 의회가 한국 등 동맹국이 자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을 발의했다며, 법안이 통과되면 한국 조선업계의 미국 함정, 해안 경비대 선박 수주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습니다.
보고서는 미국 조선업 강화를 위해 의회에 발의된 ‘선박법’에도 주목하며, 한국 조선업계에 다양한 수주 기회가 열릴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또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해 컨테이너당 50달러의 항구세를 부과하는 등 다양한 대중 견제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틈새 기회가 열릴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중국산 철강을 사용하는 국내 조선사를 제재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 미국 내 군수생산 시설이 있는데 더구나 미국 국익을
최대 우선으로 하는 트럼프 정부에서 제3국에 생산을 맡기려는 이유가 ??
2배이상 납기일빠르고
30프로이상 저렴하니깐요
미 해군 차세대 구축함으로 선정된 줌왈트급 꼬라지만 봐도 알 수 있죠.
An April 2018 GAO report said the total cost of the three Zumwalt destroyers, inclu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was $24.5 billion
인정하는 가치보다 오히려 더 싼값으로 가격경쟁력을 얻어 팔고싶지만 공정거래법
때문에 그러질 못 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 편법이 접촉되지 않는 함건조?
같은 수준의 함을 더 저렴한 가격에 건조하는
한반도의 기적은 여기서부터 시작합니다
정밀 나사공장 하나 돌릴려고 해도 해당 나사공장 설비 설계 발주 관리 생산 품질 관리할기술자가 없단 말
돈때려박아 공장 지어도 와서 일할 사람도 기술 가르쳐줄 사람도 없다는 말
즉 미국은 이제 제조 쪽으론 뭔가 하는것이 불가능함
미국인건비 수준으로 뿌리산업 취업자를 찾는 것도 불가능하고 여튼 끝
한국조선도 베트콩들. 비롯해서 동남아인 우즈벡인 등등이 일할정도로 인력부족인데요
현 베트남, 중국등 외노자들은 핵심 뿌리기술 전문가들이 없음 대부분 노가다성 업무 작업자들임
그리고 조선소에서 용접하는 일은 뿌리기술이아님 그냥 작업자임
용접 자제 설비 용접 프로세스등을 설계하고 수정 개선 발명 하는 사람이 뿌리기술자
0/2000자